
유틸리티 토큰이란? 유틸리티 코인 종류는?
-Site
·2021. 11. 9. 00:29
가상화폐 시장에서 유통되는 코인은 크게 '플랫폼 코인'과, 유틸리티ㅇ 토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틸리티 코인, 또는 유틸리티 토큰은 플랫폼 코인과는 다른 개념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편하게 말하기 위해서 토큰을 그냥 코인이라고 쓰겠습니다)
플랫폼 코인이란?
플랫폼 코인이란 거래와 관련한 정보만 저장이 되어있던 비트코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블록체인을 100% 활용하기 위해 등장한 코인 입니다.즉, 거래와 관련한 정보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을 스마트계약 또는 분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에 활용할 화폐들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플랫폼 코인은 구글 안드로이드, 애플 iOS 같은 운영체제(OS)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인 플랫폼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이며, 세계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블록체인이라고 평가 받고 있는 솔라나 또한 플랫폼 코인 입니다 또한 기존의 이더리움이 가지고 있는 높은 가스비와 느린 트랜잭션 속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이더리움의 대체자로 나온 에이다,이오스 또한 가장 대표적인 3세대 플랫폼 코인 입니다
플랫폼 코인 상세정보
↓↓↓↓
플랫폼 코인이란? 플랫폼 코인 종류
대표적인 가상화폐인 대장으로 불리는 비트코인의 가격이 6만6천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 기록을 갈아 치웠습니다 비트코인의 상승이유에 대해서는 미국 규제 당국이 가상화폐를 단속하
mzqp0731.tistory.com
유틸리티 토큰 이란?
유틸리티 토큰'이란 자체 플랫폼이 아니라 특정 플랫폼 블록체인상의 스마트 콘트랙트 기능을 활용해 생성·관리되는 암호화폐로, 일반적으로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앱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비유하자면 플랫폼 코인이 '운영체제(OS)' 내지는 '인터넷 망'이고, 유틸리티 토큰은 그 위에서 실행되는 개별 프로그램 또는 앱인 셈입니다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서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은 어찌 보면 비효율 적인 일로서 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같은 다른 플랫폼 코인의 블록체인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새로 나온 코인의 백서를 읽다 보면 이더리움 기반의 코인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 나온 코인의 백서를 읽다 보면 이더리움 기반의 코인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유틸리티 토큰 예시
신한은행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비지니스 생태계를 구축하기위해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추진한다는 뉴스가 떴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려면 기반이 될 이른바 플랫폼 코인이 필요하게 됩니다 플랫폼 코인은 다른 코인을 만드는 ‘코인 생성 툴’ 역할을 하며. 신한은행이 점찍은 알트코인은 퍼블릭 분산원장기술을 보유한 헤데라해시그래프의 헤데라(HBAR) 코인 입니다 즉 신한은행이 발행할 스테이블코인은 헤데라해시그래프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발행할 유틸리티 토큰인 셈입니다
이더리움 기반 유틸리티 토큰 종류는?
이더리움 플랫폼 예로 들면 메탈,엔진코인,샌드박스,오브스,알파쿼크,골렘,오미세고,아크 등 다양한 유틸리티 토큰이 있습니다 이더리움 내의 DApp들이 모여있는것 이것을 이더리움 생태계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더리움 기반 DAPP은 등록된 것만 현재 900개가 넘게 개발되고 있으며 가상화폐 100개중 80% 이상은 이더리움기반으로 만들어진 이더리움 생태계라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https://mzqp0731.tistory.com/1057
이더리움 생태계·이더리움 기반 코인 종류는?
이더리움 기반 생태계는 많이들 알고 계실듯 합니다 이더리움 기반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에이다,이오스,트론,오미세고 등 이더리움 기반 토큰으로 만들어진 코인들이 현재 가장 많은 영향
mzqp0731.tistory.com
비트코인 계열 토큰 종류
-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 : 2017년 8월 1일 비트코인 세그윗을 계기로 중국의 우지한이 이끄는 비트메인 등 채굴업체들이 주도하여 만든 코인이다.
- 비트코인골드(bitcoin gold) : 비트코인캐시에 대항하여 잭 리아오가 만든 코인이다. 2017년 10월 24일 기존의 비트코인을 하드포크하여 만들었다.
- 라이트코인(Litecoin) :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든 작고 가벼운 코인이다. 2011년 찰리 리가 C++ 언어로 개발했다.
리플 계열 토큰 종류
- 스텔라루멘(XLM) : 2014년 제드 맥케일럽이 기존 리플에서 하드포크한 국제 송금용 코인이다. 간략히 스텔라라고 한다. 빠른 속도를 위해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 나노코인(Nanocoin) : 리플보다 속도가 빠른 제2의 리플 코인이다. 원래 레이블록(RaiBlocks)이라고 부르다가 나노(Nano)로 이름을 변경했다. 창시자는 콜린 르메이유이다.
유틸리티 토큰은 왜 만들어질까?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서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은 어찌 보면 비효율 적인 일로서 주로 서비스를 운영할 때 블록체인의 기술을 적용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은 기존의 방식과 달리 더 보안성이 뛰어나며, 낮은 가격으로 운영이 되고 있으며 스마트 콘트랙트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을 할 수가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가상화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 코인 디센트럴랜드(MANA),샌드박스(SAND)등 주목 받는 이유 (0) | 2021.11.12 |
---|---|
비트코인 11월 4일 소프트포크 예정·비트코인 탭루트 업그레이드 정보 (0) | 2021.11.10 |
코인·가상화폐 메인넷이란? 메인넷 뜻은? (0) | 2021.11.08 |
2021년 11월 코인 일정 호재 총 정리 (0) | 2021.10.30 |
두드림체인(DRM)상장폐지,두드림체인 출금 가능 상장 거래소 정리 (0) |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