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알아보기
-Site
·2023. 5. 6. 18:44
부동산을 소유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지금 굉장히 세금에 예민해져 있으실 텐데요, 매년 6월1일을 기준으로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종합부동산세 입니다.
종부세는 유형별로 세율이 각각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미리 잘 알고 준비하시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종부세(종합부동산세) 란?
종합부동산세는 주거용 건축물, 토지와 주택 모두 해당하는 세금입니다.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의 재산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렇게 세금이 부과된 후 2차적으로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 세무서에 종부세를 납부하는 것 입니다.
이 종합부동산세 즉 종부세는 2005년부터 정책이 시작되었는데요.고액의 투자로 이익을 보는 사람들에 한해서 부과하는 세금이었는데 현재는 과세 대상의 폭이 많이 넓어졌죠.
종부세(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
종부세 대상에 해당되는 사항으로는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오피스텔, 아파트, 주택, 별장, 기숙사, 미분양 및 사원주택, 목장용지, 임야, 농지 등 사업용을 제외한 모든 토지입니다 따라서 상가, 사무실, 공장은 제외가 됩니다
1. 주택
사람 별로 전국에 소유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이 총 6억원 초과하는 경우에 납세의무자가 되는데요. 1가구 1주택인 경우에도 9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2. 종합합산토지(나대지 등)
종합합산토지란 부속토지(주택, 건축물) 기준면적 초과 토지, 나대지, 비사업용 토지, 잡종지 등 전국에 소유하고 있는 종합합산토지의 공시가격이 총 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종합부동산세 납부의무자가 됩니다.
3. 별도합산토지(주택을 제외한 건축물의 부속토지 등)
별도합산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건물 밑에 땅), 사업용 나대지(야적장, 주차장 등)로 사용되는 토지, 철거된지 6개월 미만의 건축물의 부속토
전국에 소유하고있는 별도합산토지의 공시가격이 총 8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납세의무자가 되어요!
- 1가구 2주택 종부세 -
1가구 2주택자의 종부세 대상자의 경우를 알려드릴께요. 비규제지역은 2주택 이하의 경우 종부세가 0.6%~0.3%이고,조정지역 내 1가구 2주택자의 경우는 종부세 세율이 1.2%~6.0%에요. 3주택자와 조정지역 내 2주택자의 세율이 많이 올라서 주의가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1가구 2주택일 경우 원천적으로는 다주택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존에는 다주택자 중과세율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종부세가 개편되면서 다주택자, 1주택자의 종부세율이 단일화 되어 다주택자 종부세 중과가 폐지되었습니다.
종부세의 부과기준이 되는 과세 표준은 보유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의 합으로 계산하며 가격조회는 부동산 가격 알리미에서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가구 2주택 종합부동산세 역시 2022년도 종합부동산세에 한해서는 1주택자는 14억까지 공제되는 것으로 변했습니다. 올해 일시적 1가구 2주택자가 받기 위한 특례는 그 파급효과가 생각보다 클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위와 같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 현재 신규 주택을 구입한 날로부터 2년 이내 입니다.
따라서 일시적 1가구 2주택자 중 새로운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2년 이내에 기존 주택 처분계획이 없다면 1주택자 특례조건 신청을 하시면 안됩니다.
부동산 관련 법이 자주 개정되기 때문에 미리 알고 대처해야 나중에 난처한 일이 발생하지 않으니 꼼꼼하게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종부세(종합부동산세) 계산방법

종합부동산세의 계산 방법을 보면 산출세액계산은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공제할 재산세액으로 계산이 되며, 1세대 1주택자 세액공제의 경우 한도는 80%의 공제율로 계산되고 있다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세부담상한 초과세액의 계산양식도 (과시표준 X 세율-누진공제)- (공제할 재산세액 + 세액공제액) 있는데 위의 사진을 살펴보시고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