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기요양등급별 혜택 바로알기
-Site
·2023. 7. 5. 00:16

노인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과 요양등급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노인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12조에 의하면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할수 있는 노인 즉, 만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자 중에서 치매나 뇌혈관성 질환등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며 장기요양보험 가입자 혹은 그 피부양자, 의료급여수급권자 이면 요건에 해당이 됩니다.
장기요양 등급 혜택
장기요양등급은 1등급부터 5등급, 그리고 인지지원등급까지 총 6개의 구분이 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등급이 나누어지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95점 이상)
|
장기요양 1등급은 혼자서는 생활할 수 없고,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분, 침대에 누워서 거동이 불가하시거나 옆에서 누군가 지속적으로 케어를 해주셔야 하는 분입니다.
|
2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75점 이상~95점 미만)
|
장기요양 2등급은 식사처럼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분, 혼자 움직일 수 있어도 도움 없이 생활이 힘드신 분입니다.
|
3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60점 이상~75점 미만)
|
장기요양 3등급은 일상생활에서 휠체어를 탈 시 이동 보조를 받는 것과 같이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분입니다.
|
4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51점 이상~60점 미만)
|
장기요양 4등급은 걸어갈 때 옆에서 부축받는 정도로 일정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분입니다.
|
5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45점 이상~51점 미만)
|
장기요양 5등급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노인성 질병에 해당된 치매를 앓으시는 분입니다.
|
인지지원 등급(장기요양인정 점수 45점 미만)
|
인지지원 등급은 장기요양등급이 1~5등급은 아니지만 경증 치매로 불편을 겪는 분입니다.
|
등급별 이용 가능한 급여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인지지원등급
|
재가급여 또는 시설급여
|
재가급여
|
주•야간
보호급여
|
|||
치매가족휴가제 종일 방문 요양
|
|||||
특별현금급여 (가족요양비)
|
|||||
치매가족휴가제 단기보호급여, 기타 재가급여 (복지용구)
|
일반적으로 혜택은 ‘장기요양급여’라고 불리며 재가급여와 시설급여로 나뉘는데요.
재가급여는 가족요양,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등이 해당됩니다.
가족요양은 어르신의 가족이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이후 직접 어르신을 돌보는 것이고,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의 경우 가정에 요양보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등이 방문하여 가사지원, 신체수발, 목욕 혹은 간호와 진료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주야간보호는 어르신을 하루 중 일정 시간 동안, 단기 보호는 어르신을 일정 기간 동안 장기요양기관에 보호하며 목욕, 식사, 치매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시설급여의 경우 요양원과 같은 노인요양시설, 그룹홈과 같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해당되는데요. 이는 요양시설에 장기간 입소한 어르신들에게 신체활동 지원 및 심신기능 유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추가로, 복지용구란 어르신들께서 일상생활 도중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용구를 제공 혹은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급여예요. 보시다시피 어르신을 모실 때에 도움이 될 수 밖에 없는 혜택들로 구성이되어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요양원에 입소하기 위해서는 장기요양등급 1~2등급이 필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재가급여 1달 한도액

마지막으로 월 한도액이나 급여 비용은 등급과 혜택 종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제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재가급여의 1달 한도액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등급 - 1,672,700원
- 2등급 - 1,486,800원
- 3등급 - 1,350,800원
- 4등급 - 1,244,900원
- 5등급 - 1,068,500원
- 인지지원 등급 - 597,600원
위 한도액은 22년 1월 기준의 급여 한도액이며, 복지용구를 제외한 비용인데도 불구하고 꽤 높은 수준의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죠?
덕분에 경제적인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이실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요! 항목별 수가는 국민 건강보험 공단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자세히 작성되어있으니 참고하신 후에 노인장기요양등급 혜택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장기요양 등급 신청방법
1️⃣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 혹은
65세 미만의 노인성 질병을 가지신 분
(장기요양등급 인정 노인성 질병에 한함)
2️⃣ 신청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팩스 신청, 우편 접수, 인터넷 접수
3️⃣ 신청 자격 :
본인, 가족, 사회복지 공무원
4️⃣ 신청 서류 :
장기요양인정 신청서 및 경우에 따라 의사 소견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