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장려금 지급일 살펴보자
-Site
·2023. 8. 2. 18:35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고 있지만 낮은 소득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또는 사업자(전문직 제외) 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총 급여액 등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이렇게 소득이 적다면 일할 의욕이 사라져 구직활동을 포기하게 되는데요. 기본적으로 소득과 재산이 기준보다 적은 가구가 대상이 되며, 가구당 1명만 신청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정기/반기 차이는?
정기 신청은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이 있는 가구이며, 반기 신청은 상반기분 근로소득만 있는 가구/하반기 근로소득만 있는 가구입니다.
반기 신청 후 지급이 결정되면 2021년 상, 하반기분 각 근로장려금 산정액의 25%를 지급하거나 지급을 유보한 후 9월에 정산하게 됩니다.
반기 신청이 35%만 선 지급되는 이유는 지급 이후 정산 기준일에 부부 합산 연간 총소득 또는 재산가액이 변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지급한 장려금을 환수하지 않고, 상반기와 하반기를 나누어 신청하는 것입니다.
정기 신청 후 지급이 결정되면 반기 신청과는 다르게 100% 모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일
1) 정기 신청
- 전년도 전체 소득 기준으로 5월에 신청해서 8월에 지급
2) 반기 신청
- - 전년도 하반기분을 3월에 신청해서 6월 말에 지급
- - 2022년 상반기분은 9월에 신청해서 12월에 지급
이 중에 반기별 신청 대상은 본인이나 배우자 모두 근로소득만 있는 거주자로 한정이 되며, 사업소득이 있다면 5월에 정기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기준
가구 유형
|
근로장려금
|
||
단독 가구
|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
|
|
총 급여액
|
4~2,000만 원
|
4~3,000만 원
|
6~3,600만 원
|
개정 후
|
2,200만 원
|
3,200만 원
|
3,800만 원
|
최대 지급액
|
3~150만 원
|
3~260만 원
|
3~300만 원
|
- - 단독: 4만 원 이상~2,000만 원 미만 → 2,200만 원
- - 홑벌이 가구: 4만 원 이상~3,000만 원 미만 → 3,200만 원
- - 맞벌이 가구: 600만 원~3,600만 원 미만 → 3,800만 원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자격요건은 해당 연도에 배우자와 본인의 소득이 오로지 근로소득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거주자이며, 윗 요건들에 모두 해당이 되었을 경우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요건들에 모두 해당을 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것이 있다면 근로장려금 신청이 불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현재 시점에 대한민국 국적을 지니고 있지 않은 경우 ( 그러나,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과 혼인을 한 자, 또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는 제외)
2. 해당 연도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경우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모바일, 서면 안내문 수령 시)
- 안내문 내 ‘신청하기’ 버튼 또는 QR코드 스캔 후 손택스 신청화면 접속
- 주민등록번호 뒤(7자리) 입력 후 신청완료
(홈택스)
- 홈택스 접속 후 ‘신청/제출’ 메뉴 또는 ‘근로·자녀장려금’ 배너 클릭
- ‘간편신청하기’로 개별인증번호 입력
- 주민등록번호 뒤(7자리) 입력 후 신청완료
(ARS)
- 1544-9944로 전화 후 음성안내에 따라 신청
이번 3월에 반기 신청을 한 분들은 6월 중으로 처리될 예정이에요. 원래 반기별로 35%씩 지급한 뒤 추가로 총소득을 정산하여 9월에 차액이 지급됐죠. 올해부터는 하반기분을 지급하는 6월에 정산도 함께 진행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