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기간 알아보기

-Site

·

2023. 11. 8. 10:48

반응형

정부가 코스피·코스닥 등 한국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기로 했는데요. 공매도 한시적 금지 기간과 그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매도란? 

공매도란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증시에서 주식을 사서 빌려준 곳에 갚는 투자 방식 입니다.

 

쉽게 말하면  "하락에" 배팅하는 방식인데요. 일반적인 주식 매매는 가격이 상승할 종목을 매수 한후 가격이 오르면 매도해서 차익을 취하게 됩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종목을 빌래서 매도 한 다음 , 주가 하락후에 다시 매수하여 갚는 방법입니다.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100주 를 빌려줘서 일정의 수수료를 얻고 기분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30일이 지나고 보니 주가는 40,000원이 되어 있습니다. 이때 빌려준 저는 100만 원이라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공매도를 친 사람은 500만 원-400만 원 100만 원의 차익을 얻어갑니다.

 

공매도는 숏(하락)에 배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보유한 종목이 공매도 가 많다는 것은 즉 하락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공매도 장단점

 

공매도의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 시장의 유동성 증가

공매도는 주식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투자자는 더 많은 옵션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감소합니다.

거품 제거 및 적정가격 유지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거품을 제거하고 적정한 가격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만약 기업의 실적이나 전망이 악화되면 공매도 세력이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함으로써 주가가 빠르게 조정됩니다.

반면에 공매도의 단점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불공정거래 위험

공매도는 일부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불공정한 게임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가 대규모로 공매도를 하면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할 수 있고 이는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금융위기 초래 가능성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미국 대형 은행들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채권을 담보로 한 파생 상품을 대량으로 공매도하면서 금융 시스템 전체가 붕괴될 뻔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공매도 금지기간

 

11월 5일 오후 5시에 금융위원회에서 공매도 금지가 보도되었습니다.

  • 공매도 금지 기간 : 23년 11월 6일부터 ~ 24년 6월 말

기존에 한국 증시는 코스피200, 코스닥150 종목은 공매도가 가능했는데요. 11월 6일부터 전종목 공매도가 금지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