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선물 펀딩비 알려드려요 (바이비트 거래소)

-Site

·

2024. 5. 9. 23:02

반응형

코인 선물거래를 하다보 펀딩 비용이 발생하는데 "내가 왜 줘야되는거지? 나도 손실중인데.. 아까운데?" 라고 한번씩은 생각해보셨을겁니다. 오늘은 펀딩비에 대한 개념부터 왜 반대 포지션에게 지급 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바이비트 거래소를 선물 거래소라 생각하시고 청산이라는 리스크 때문에 거리감을 두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1배율로 매수를 하면 현물 매수랑 별반 다를 바 없으므로 코인 선물매매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이번 기회에 최대 수수료 할인까지 받으며 해외거래소 계정을 장만하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리며 바이비트 최대 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가입 링크를 남겨드리겠습니다.

 

바이비트 최대 수수료 할인 혜택 가입 주소

 

 

 

펀딩비란?

먼저 대부분의 선물거래는 만기일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의 대표가격이란 비트코인의 거래소들의 가격들을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결과치를낸 비트코인 지수가 되게 됩니다.

선물이라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로 하여금 미래의 비트코인의 가격에 대한 예측과 기대를 하게 하고 그에 따라 매매를 하게되며 그리고 그 매매들이 가격을 움직이게 합니다.  하지만 선물 가격이라고 해서 너무 먼미래에 대한 기대가치를 반영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비트코인이 지금 천달러인데 선물의 가치가 2배가 넘는다면 말이 안되게되죠. 그리고 그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포지션도 없을껍니다. 따라서 선물과 현물 사이의 이격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것이 필요한데 그것이 만기일입니다. 비트코인의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많이 다르다고 해도 만기일에 포지션들이 종료되면서 그 이격을 다시 맞추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매매하는 선물 거래는 무기한 입니다.  무기한은 만기일이 없기 때문에 이 이격을 해소할 수 있는 마땅한 장치가 없습니다 그래서 나오게된 것이 펀딩비 라는 개념입니다. 

 

펀딩비를 주고 받는 쪽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만약 상승장이라면 다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선물거래를 할테니, 롱 포지션의 비율이 많아지겠죠?

이때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숏 포지션을 보유한 트레이더에게 펀딩비를 지불하는데, 바이비트 화면에서는 펀딩비가 (+)양수로 보입니다.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숏 포지션의 비율이 많기 때문에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주게 되는데요.이때는 펀딩비가 (-)음수입니다.

펀딩비만 확인해도 현재 시장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펀딩비 계산방법 

펀딩비 및 펀딩비 계산 방법은 간단한데,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바이비트 거래소 앱

Fnding Fees = 펀딩피

Position Value = 포지션 사이즈

Funding Rate = 펀딩비

펀딩피

= 포지션 사이즈 X 펀딩비

여기서, 포지션 사이즈는 거래 금액(혹은 투자 금액)과 레버리지 배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실제로 계산을 해보는 게 가장 이해가 쉬울 테니, 거래 금액은 1,000 USDT, 레버리지 배율은 20배, 롱 포지션로 가정하고

 펀딩비가 각각 양수, 음수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해 볼게요!

1) 펀딩비가 +0.01%(양수)인 경우

펀딩피

= 1,000 USDT X 20 X 0.01%

= 2 USDT

로 계산할 수 있고,

롱 포지션을 잡은 상황에서 펀딩비가 양수이니, 이 경우는 2 USDT 만큼 펀딩피를 지불하게 됩니다.

2) 펀딩비가 -0.02% (음수)인 경우

펀딩피

= 1,000 USDT X 20 X 0.02%

= 4 USDT

로 계산되고

음수 펀딩비일 때 롱 포지션을 잡았으니, 4 USDT 만큼 펀딩비를 받게 되겠죠.

이 펀딩피 계산에는

1) 레버리지 배율이 곱해지고

2) 포지션을 잡고 있다면 일정 시간마다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펀딩비 숫자만 보고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2번 이유 때문에 펀딩피를 주고, 받는 시간을 알고 계셔야 해요.

 포지션을 오래 잡고 있다가 펀딩피를 지불하면서 청산을 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펀딩비 수익 낼 수 있을까?

펀딩비로 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만약 펀딩비율이 음수일 경우, 선물 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잡고, 현물 시장에서 같은 수 만큼 매수 포지션을 잡으면(이를 '리스크 헷지'라고 합니다) 본인이 결과적으로 들고 있는 자산의 가치는 고정돼 있으면서 안전하게 펀딩비만 먹을 수 있는거죠. (단, 현물가와 선물가의 괴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암호화폐 선물거래소들이 무기한 계약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 유용한 방법입니다.

 

다만,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펀딩비율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이 펀딩비율은 각 거래소마다 각기 다른 형태로 공지합니다.

 

바이비트 펀딩비 확인방법

바이비트는 바이낸스와 다릅니다. 펀딩비와 카운트다운이 다릅니다.  펀딩비 최대 비율은 +2.0000% -2.0000%이며 카운트다운은 기본 4시간입니다.

바이비트 모바일 펀딩비 확인

바이비트 펀비는 모바일은 호가창 위에 있습니다. -1.5154%/00:02:51

바이비트 데스크탑 펀딩비 확인

데스크탑 기준 펀비는 상단 티커, 우측 끝에 있습니다. -2.0000% / 03:54: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