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캄 코인 업비트 상장 주요정보
-Site
·2025. 3. 11. 16:18
트럼프의 관세정책에서 시작된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고개를 들면서 미국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가상화폐 시장 역시 많은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상황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며 급락이유 그리고 업비트에 신규 상장되는 아캄 코인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시황 분석
1.트럼프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디지털 자산 서밋’에서 가상화폐 산업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을 예고했으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매입하지 않는다 →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에 보유한 비트코인(압수된 자산)만으로 전략적 비축을 운영한다고 발표. 세금 부담 없음 → 백악관 암호화폐 정책 책임자인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는 "이번 조치는 납세자에게 비용을 부과하지 않는다"고 설명. 시장에 추가 수요 없음 → 정부가 적극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압류된 자산을 비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매수 효과가 없음. 결국,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매입을 통해 비트코인 가격을 떠받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지 않음이 확인되면서 실망감이 확산된 것입니다. |
다만 이 부분은 단기적으로는 실망 매물이 나올 수 있지만, 이번 발표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이 비트코인 보유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점은 분명한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2.관세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 이후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 무역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으로 관세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2월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죠
트럼프가 관세를 다시 활용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것인데 중국, 유럽 등 주요 국가와의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투자자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자금을 안전한 자산(금, 미 국채 등)으로 이동시키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매도 압력을 받게 되는 것이죠
3. 경제 불확실
2월 26일에 발표된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98.3으로 1월 대비 7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소비자신뢰지수는 소비자 지출을 예측하는 선행지수로, 지수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경기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의미인데 최근 트럼프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인플레이션 우려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낮아졌죠
투자자산은 크게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으로 나뉘게 됩니다. 안전자산은 예금, 적금 등 원금이 보장되는 것이며 위험자산은 주식, 채권 등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것이며 가상화폐 또한 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기업들이 투자하는 데 필요한 돈을 빌리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가 감소해 기업의 성장은 둔화됩니다 빌린 돈에 대한 이자비용도 늘어나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기업들은 저금리로 자금을 빌려, 투자를 늘리게 됩니다 동시에 부채를 많이 안고 있는 기업들은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금융비용(이자비용)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되면 당연히 기업 이익은 늘어나고 재무구조등이 튼튼해져 기업 가치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 결과로 주식을 사려는 수요 늘어나고,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코인이 하락할때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공매도 기능을 이용하는 것인데요 ✅공매수(롱), 공매도(숏)
비트코인을 100만 원을 투자 후 비트코인 가격이 50% 상승해서 이익을 봤으면 가격은 150만 원이 되고, 이득은 50만원이 되겠죠? 일반적으로 업비트 거래소처럼 이용하는 걸 공매수라고 합니다.
공매도를 쉽게 설명하면 만약 1 코인에 100만 원 하는 코인을 거래소에서 차용해서 나중에 100만 원으로 매각합니다. 그럼 내 자산은 100만 원 되며, 나중에 가격이 하락하여 절반이 되었다? 하면 50만 원에 코인 1개를 구입해서 거래소에 1개의 코인을 상환하면 됩니다. 그럼 나중에는 50만 원이라는 차액이 남게 되고 그 금액이 수익이 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공매수는 일반적인 현물거래 방식으로 상승장에 주문을 넣어 수익을 올리는 방식이며, 공매도는 하락장에 주문을 넣어 수익을 올리는 방식을 말합니다. 서로 반대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공매도 레버리지가 가능한 선물거래는 국내 거래소에서는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선물거래는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으며, 레버리지를 활용해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장점입니다.
선물거래소 1위 바이낸스 가입방법은 아래 링크로 가입하셔서 평생 수수료 할인 혜택도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BINANCE 수수료 할인 가입링크
▷ 가입 혜택 : 거래수수료 20% 할인
▷ Referral Code : 21113203 (할인링크 접속이 아닌 어플이나 홈페이지로 가입 시 직접 입력해야 함 )
▷ 바이낸스 가입 및거래가이드 (☜ 클릭)
업비트 원화마켓 '아캄코인' 추가
아캄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블록체인과 온 체인 데이터를 추적하고 소유자 등에 대한 정보를 보여 주는 분석 플랫폼입니다. 아캄의 경우 출시 초기에 플랫폼에 가입을 하기만 해도 후한 에어드랍으로 주목을 받았던 플랫폼입니다.
자체 개발 인공지능 울트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단일 정보 소스로 합성하여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ID에 대한 포괄적이며 정확한 시각화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며 그뿐만 아니라 거래내역, 거래소 사용, 기업의 손익 등의 전체적인 보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캄이 주목받은 이유 중에 하나는 바로 바이낸스 랩스로부터 투자를 받은 것입니다. 바이낸스 랩스의 경우 유망한 가상 자산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는 곳입니다.
바이낸스 뒷배 그리고 코인베이스 피터틸 까지 아캄코인에 투자사로 알려지며 이후 아캄은 바이낸스 런치패드를 통해서 바이낸스에 상장하게 되었고 1000%가 넘는 상승률로 화려한 데뷔를 하게 되었습니다.
AI 메타가 아무리 강했다 하더라도 꺾이는 시점은 분명히 오기마련이고.. 2025년 초부터 엔비디아의 주가가 꺽이면서 AI코인 섹터가 한풀 꺽이는 추세가 나왔죠 아캄 역시 2024년 8월 최고가 4달러 도달이후 현재는 6배가량 하락한 상황입니다 사실 업비트 상장 된다 하더라도 상방으로 이끄는 힘은 없다고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