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개최주기 올림픽 4년에 한번씩 하는 이유

-Site

·

2021. 9. 14. 15:12

반응형

《 올림픽이 4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는 이유 》


전 세계 스포츠 행사의 바로미터가 되는 것이 바로 올림픽입니다. 올림픽의 역사는 잘 알다시피 기원전 776년 그리스에서부터 시작되어 4년마다 한 번씩 열렸지요. 이후 근대에 들어와서는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현재까지 이어지는 올림픽인 제1회 올림픽이 개최되어 2020년 제32회 도쿄올림픽이 폐막식이 다가오며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2024년 프랑스올림픽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올림픽이 4년마다 개최되는 것은 근대 올림픽부터가 아니고 고대에서부터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고대 그리스의 태양력과 태음력이 관련이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8년 주기로 만난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인지 그 당시 그리스에서는 8이란 숫자를 완전무결한 숫자로 여겼습니다. 또한 당시 그리스 공용 달력은 태양력과 태음력 두 종류를 썼는데 8년 주기로 두 달력을 사용하는 데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여러 이유로 고대 그리스에서 완전무결한 숫자로 여긴 8년을 주기로 올림픽을 개최했습니다. 기원전 776년 이전의 올림픽은 8년 주기로 열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8년을 하다 보니 너무 기간이 길어 문제가 되며 '이피테스'라는 사람이 태양력과 태음력의 주기를 억지로 4년에 맞추어 주장하면서 4년으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근대 들어 올림픽이 자리를 잡게 되고 세계 규모의 대회는 4년마다 열리는 것이 정례화되다시피 하면서, 월드컵또한 4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었습니다


하계 올림픽 4년마다 개최되고, 동계 올림픽 역시 4년마다 개최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계 올림픽의 종목이나 선수단 임원단 규모가 훨씬 더 크며 양궁, 태권도, 농구, 배구, 축구, 탁구, 테니스, 육상, 수영 등 도쿄 올림픽이었던 브라질 대회 기준으로 33개 종목이 있으며 반면 동게 올림픽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스키, 아이스 하키, 봅슬레이, 컬링,루지 등 빙상과 설상 족목 위주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IOC입장에서 동계 올림픽과 하계 올림픽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2년간격으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같은 해에 개최하던 때도 있었는데 1994년 부터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의 개최연도에 2년의 간격을 두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