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vBEi%2Fbtrn1hl1AYs%2Fuzss04vYrcp63xui32nKQk%2Fimg.jpg)
다드 코인 2.0 로드맵 발표
-Site
·2021. 12. 16. 18:28
다드 코인이란?
다드는 글로벌 광고 에이전시인 Yeahmobi가 운영하는 광고시장 중간자 제거 플랫폼입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최종 시청자가 수익을 직접 공유받을 수 있도록 하여 광고시장의 데이터 개방성 및 거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입니다. 다드(DAD)토큰은 향후 런칭될 다드 블록체인에서 시청자 보상 및 거버넌스에 사용됩니다.
DAD 2.0 발표
다드 1.0은 차세대 분산형 광고 공개 체인 구축에 중점을 뒀으면 다드 2.0은 웹 3.0 세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메타버스 시대에 웹 3.0 네트워크 트래픽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DAD 2.0 기능
메타버스와 웹 3.0 시대의 인터넷 산업에서 "가상"과 "현실" 다리를 연결하는 세분화된 분야에 전념하여 DAD는 현재 블록체인 산업 발전의 한계와 문제를 해결하고 호황을 누리는 온체인 광고의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새로운 광고 비즈니스 형태를 적극적으로 출시합니다.
- 국경 없이 결제하세요. DAD 2.0 광고 지불 방법으로 가치와 유동성을 갖춘 디지털 자산을 지원하고 계약 서명 방법으로 smart contract 을 사용합니다.
- 가치 전달 — "고도의 대화형" 전달. DAD 2.0은 광고 전달 방식을 변경하여 광고 전달에서 작업 지향 광고주의 토큰 에어드롭 과 에어드롭 을 가능하게 합니다.
- DAO 거버넌스. DAD 2.0은 블록체인 분야에서 미디어, 제품 및 채널의 수집 및 전달 방식 연구에 중점을 둡니다.
- 블록체인 기반 배달 데이터베이스. 이것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청중에게 전달하고 주소를 목적지로 지정하고 사슬에서 청중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슬에서 사용자 초상화를 보완하고 DAD 의 고유한 온라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
- 토큰 이코노미. 광고주는 DAD 를 스테이킹하고 더 많은 광고 노출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DAD 를 스테이킹하여 더 많은 작업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드 로드맵 발표
DAD 2.0 로드맵
DAD 2.0은 로드맵을 Gate, Bridge, Commerce 및 D를 포함한 4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고 알고리즘 모델 완성, 온체인 데이터 프레임워크 구축, 사용자 초상화 데이터베이스 게시, DAO 사용 촉진, 원활하게 실행에서 DAD 의 미래 이정표를 묘사합니다. 광고 비즈니스 배치 프로세스 및 비즈니스 레이아웃 확장.
1단계: 게이트 시대
2021년 4분기부터 2022년 1분기까지이 단계에서 DAD 는 사용자의 관심 범위를 확장하고 웹 2.0에서 웹 3.0으로의 잠재 고객 트래픽 마이그레이션 채널을 여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2단계: 브리지 시대
2022년 1분기부터 2022년 2분기까지광고주와 청중을 연결합니다.
3단계: 상업 시대
2022년 3분기~2023년 2분기블록체인 세계에서 광고의 전반적인 자동 프로세스 구현
4단계: D 시대
2023년 3분기부터 2024년 1분기까지 메타버스 세계에서 Flow Bridge의 비전을 실현하십시오.
웹(web)이란 무엇인가?
웹(web)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서 뜻은 거미줄. 인터넷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연결 서비스 등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환경을 말합니다. 웹 1.0은 1994년부터 2004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있던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이에 해당하며 웹1.0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MSN메신저, 알타비스타, Ask Jeeves)가 포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웹2.0(web2.0)이란?
웹2.0은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말합니다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기술 중심의 웹 1.0에 비해 웹2.0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데이터 및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 중심 입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만 있다면 어느 곳에서도 데이터를 생성, 공유, 저장, 출판 및 비즈니스가 가능하며 웹 2.0으로 오면서 정보 생산이 더욱 활발해졌고 그로 인해 구글(google),페이스북(facebook),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트위터(twitter)등 이 대표적인 서비스입니다
웹 3.0 이란?
공통적으로 웹3.0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웹 생태계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됩니다.웹 2.0으로 오면서 정보 생산이 더욱 활발해졌고 그로 인해 정보를 생성하는 플랫폼 기업 구글이나 페이스북,네이버,다음음 등이 대기업이 됐습니다 포털 사이트를 예로 들어보면 블로그를 운영하면 블로거들이 정보를 생산해서 애드포스트 혹은 애드센스로 수익을 사이트로 일부 가져다주어도 넓게 보면 그 이득을 취하는 건 포털의 회사가 됩니다 웹 3.0에서는 다릅니다. 사용자들이 보유한 정보가 특정 플랫폼 기업의 가치로 구속되는 게 아닌 그 정보를 만들어낸 사용자가 보상을 받게 됩니다
'가상화폐 정보 > 코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론 코인 악재-트론 재단 CEO 저스틴 선 사임 (0) | 2021.12.17 |
---|---|
라이파이낸스 코인 비트마트 거래소 상장 (0) | 2021.12.17 |
보라코인 호재 카카오 게임즈 NFT 거래소 투데이이즈 런칭 (0) | 2021.12.16 |
리본 파이낸스 아발란체 생태계 합류 (0) | 2021.12.16 |
폴리곤 코인 고팍스 거래소 상장 호재 (0) | 202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