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사전투표일 안내

-Site

·

2022. 5. 2. 18:42

반응형

윤석열 당선인이

20대 대통령으로 확정되며

5월 10일 취임을 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아직 올해 투표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2022 지방선거가 남아있는데요

오늘은 2022 지방선거일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선거란? 

2022 지방선거일 알아보기 전에

지방선거란 무엇인지 보겠습니다.

 

지방선거란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선거를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지방선거를 하는 목적은

기본적으로 일정한 지방행정구역

단위로 각 정당별 또는 무소속 후보자를

중심으로 투표를 통해 지역주민이

지역대표를 선출하는 것에 있습니다.

 

지방선거로 선출된 대표들은 임기가 4년이며

나이 25세이상, 선거일 기준 해당하는

각 지방자치단체 관할구에 60일 이상

거주한 주민이라면 누구나

출마가 가능합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리!

 

선거일 및 임기

선거일 : 2022. 6. 1.(수)

선거운동 기간 : 2022. 5. 19.(목) ~ 5. 31.(화) [13일간]

당선인 임기 : 4년(2022. 7. 1. ~ 2026. 6. 30.)

선거권과 피선거권

선거권 : 18세 이상의 국민

※ 2004년 6월 2일에 태어난 사람까지 포함

 

※ 선거인명부작성기준일

현재 영주의 체류자격 취득일 후

3년이 경과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등록대장에 올라있는 18세 이상의

외국인은 선거권이 있음.

 

피선거권 : 18세 이상의 국민

 

거주요건 : 선거일 현재 계속하여

60일 이상(2022. 4. 3. 이전부터)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 안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주민

 

지방선거vs총선 차이는?

우선 지방선거는 앞서 말해드린것 처럼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 시도교육감, 시도의원

시군구의원을 뽑는 선거입니다.

 

지자체를 다스리는 수장들을 뽑는 거죠.

4년마다 실시합니다.

반면 총선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입니다.

정당마다 국회 의석수를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유세전을 펼칩니다.

 

이 또한 4년마다 실시하죠.

지난 2020년에 총선을 치른 만큼

다음 총선은 2024년에 열립니다.

반응형

지방선거 사전투표일 안내!

 

사전투표는 당일에 참여가 어려운 선거인이

별도의 신고 없이 사전투표소가

설치된 곳 어디에서나 투표할 수 있

제도입니다.

 

날짜를 보게 되면 사전투표는

2022년 5월 27일(금)~ 2022년 5월 28일(토)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 2022 지방선거일 6월 1일에

시간이 되지 않으신 분들은 미리 확인하셔서

투표하시길 바랍니다.

 

지방선거일 공휴일일까요?

지방선거일을 주말로 정하지 않는 이유는

참여자를 높이기 위함인데요.

 

주말로 지정하게 되면 참여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월요일이나 금요일로 지정하게 되면

연달아 쉬는 황금연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소중한 한표라도 더 모일 수 있도록

수요일로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네, 지방선거일은 법정공휴일이 맞습니다.

 

여러분들의 무한한 관심과 애정으로

6월 1일 지방선거 잊지 마시고 소중한 한 표

나의 권리를 내세워 주시기 바랍니다



지방선거 사전투표일 안내!

우리나라의 지방 선거는

1952년에 시·읍·면 의회 의원 선거 및

시·도 의회 의원 선거를 하면서

처음으로 시행되었습니다

 

당시의 선거는 지방 자치법에 따라

서울 시장과 도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시·읍·면장만 주민의 투표로 뽑았기 때문에

완전한 지방 자치라고는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기초 단체장(시·읍·면장)과

광역 단체장(시·도지사)까지

주민이 직접 뽑도록 지방 자치법이 바뀐 것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입니다 

하지만 이듬해인 1961년 30여 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991년 구·시·군 의회 선거와

시·도 의회 의원 선거가 벌어지면서

지방 자치 제도가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때 역시 단체장을

임명하는 체제였기 때문에

완전한 지방 자치제라고는

볼 수 없었는데요!

 

우여곡절 끝에 1995년 6월 27일

기초 의회의 의원과 단체장, 광역시·시·도

의회 의원과 단체장 선거가 벌어지면서

본격적인 지방 자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검사비용 (2022)  (0) 2022.05.03
코로나 지원금 신청방법  (0) 2022.05.03
대통령 취임식 날짜 (윤석열)  (0) 2022.04.30
부처님 오신날 대체공휴일 여부  (0) 2022.04.29
대통령 취임일정은?  (0)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