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지방선거 일정

-Site

·

2022. 5. 18. 10:54

반응형

5년간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새로운 대통령을 뽑았는데요.

 

 2022년 중요한 선거가 하나 더

남아있습니다

바로 2022년 6월 1일(수)에

실시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입니다.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총 7개의 선거 종류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만큼 여러 후보자에 대해

꼼꼼하게 알아보고 표를 행사해야 하는데요

지방선거 일정 선출대상 자세히 알아봐요!

 

 

 

2022년 지방선거 일정!

 

2022년 제8회 지방선거는 오는 6월 1일(수)에 본인의 주민등록지내 지정된 투표소에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됩니다.

만약 선거일에 투표할 수 없다면 사전 투표를 활용하면 되는데요. 5월 27일(금)부터 5월 28일(토)까지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가능합니다. 

 

지방선거 공휴일 여부!

 

대통령선거와 마찬가지로 지방선거일 또한 법정 공휴일로, 투표 시간을 법으로 보장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지방선거일인 6월 1일(수) 사전투표기간인 5월 27일(금) 또는 5월 28일(토)에 근무로 인해 투표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고용주에게 투표에 필요한 시간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지방선거 코로나 확진자는?

*코로나 19 확진•격리 유권자는 사전 투표 기간인 5월 28일(토) 오후 6시 30분 ~오후 8시 혹은 6월 1일(수) 오후 6시 30분 ~ 오후 7시 30분 사이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지방선거 선출대상!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정과 준비물에 이어 선거 종류 및 선출 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총 *7개의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는데요. ①시•도지사선거 ②교육감선거 ③자치구•시•군의장선거 ④시•도의원선거(비례) ⑤ 시•도의원선거(지역구) ⑥자치구•시•군의원선거(비례) ⑦ 자치구•시•군의원선거(지역구)가 실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표 시 색깔이 각기 다른 총 7장의 투표용지를 받게 되며,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지역은 투표용지를 1장 더 받게 됩니다.

 

*세종 지역(투표용지 총 4장):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시의회의원(지역구, 비례), 교육감

*제주 지역(투표용지 총 5장): 특별자치도지사, 특별자치도의회의원(지역구, 비례), 교육감, 교육의원

2022년 5월 2일 기준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지역구는 ▲대구 수성구을 ▲경기 성남시분당갑 ▲충남 보령시서천군 ▲경남 창원시의창구 ▲강원 원주시갑 ▲인천 계양구을 ▲제주 제주시을입니다.

 

 

선거는 왜 수요일날 할까요?

수요일에 선거를 하는 이유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임시 공휴일인 선거일을 쉬는 날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주말에 가까운 요일일수록 선거일까지 휴가로 이용해 여행을 가는 등 투표를 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화요일이나 목요일 역시 월요일이나 금요일 하루만 휴가를 내면 며칠 간의 연휴를 즐길 수 있게 되어 투표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하루 쉬게 될 수밖에 없는 수요일이 선거투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최상의 요일이 되기 때문에 선거일로 지정된 것입니다.

 

 

지방선거 역사!

 

우리나라의 지방 선거는 1952년에 시·읍·면 의회 의원 선거 및 시·도 의회 의원 선거를 하면서 처음으로 시행되었습니다

 

당시의 선거는 지방 자치법에 따라 서울 시장과 도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시·읍·면장만 주민의 투표로 뽑았기 때문에

완전한 지방 자치라고는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기초 단체장(시·읍·면장)과 광역 단체장(시·도지사)까지 주민이 직접 뽑도록 지방 자치법이 바뀐 것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입니다 

하지만 이듬해인 1961년 30여 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991년 구·시·군 의회 선거와 시·도 의회 의원 선거가 벌어지면서 지방 자치 제도가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역시 단체장을 임명하는 체제였기 때문에 완전한 지방 자치제라고는 볼 수 없었는데요!

 

우여곡절 끝에 1995년 6월 27일 기초 의회의 의원과 단체장, 광역시·시·도 의회 의원과 단체장 선거가 벌어지면서 본격적인 지방 자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