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안내

-Site

·

2022. 7. 10. 23:01

반응형

요즘 정부에서 다양한 청년정책들을

내놓고 있는 거 같아서 좋은 것 같은데요

 

특히나 매달 10만원씩 저축하면

3년 뒤에는 최소 360만원 ~ 1,440만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청년내일 저축계좌

다들 알고계시죠? 

 

7월 13일 부터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지원대상에 들어가면 꼭 신청하시고!

 

혹시나 지원신청대상이 아닌경우

오늘 소개해 드릴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주목해 보시길 바랍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2022년 1월 1일부터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만들어진 펀드 상품인데요.

청년 세제감면 정책 상품이라고 해요!

반응형

증권사의 펀드에 장기 가입하면,

세제감면 혜택으로 납입액의 일부분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펀드 상품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조건!

  • 연령: 만 19세 ~34세 청년 (병역이행 시 최대 6년 추가 인정)
  • 가입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 소득: 총 급여 5,000만 원 이하 혹은 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
  • 가입기간: 3년~5년

*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에 적용

가입요건은 일반적으로 청년대상 제도와 동일합니다.

 

총 급여 역시 동일하지만 가입 직전연도 3개년 중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이 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이자, 배당으로 연간 2,000만 원 이상 수익을 올린 사람)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신청서류! 

 

✔신분증

✔소득금액 증명서

✔병적증명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있으니,

신청하실 분들은 잘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 정리!

 

국내 상장 주식의 40%이상 

투자하는 펀드 가입

 

연600만원 한도내에서 40% 소득공제!

 

단 가입동안 총급여 8000만원 또는 종합 소득금액

 

6000만원 초과 시 소득공제 제외!

 

가입 혜택은 위와 같으며

가입후 3년 이내에 해지/인출/양도 시

감면세액 가운데 납입금액의 6% 가량이

추징되니 이 점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단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주로 주식에 눈길이 있는 청년들이

가입하는 편입니다.

 

따라서 이득을 방대하게 볼 수 있는

한편 반대로 손실의 실현성도 높습니다.

그러니 주식 비율을 낱낱이

따진 뒤가입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며

3년 이내에 해지하시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3년 동안 돈이 묶여서

해당금액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흡족히 인지를 하신 뒤 가입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결점을 말씀드리니

불안전감을 방대하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만 해당 상품은 연 600만 원

한도에서 극도 40%까지 소득공제를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가입한 뒤 3년 만기를 하신다면

1800만 원과 함께 이득금 을 받게 되서 

나름 괜찮은 제도이긴 합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

 

 

가입요건에 부합되는 경우,

해당 상품을 취급하는 증권사에

신분증, 소득금액 증명서, 병적증명서 등을

지참해 방문신청하거나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소득금액 증명서 발급

소득금액 증명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정부 24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반응형